https://twitter.com/TwitterBlue/status/1484226494708662273?s=20
밈의 대표 플랫폼 답게, 트위터에서 nft 프로필 지원 기능이 업뎃되었다.
Twitter Blue라는 이름의 유료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그 서비스 중 하나로 nft 프로필을 지원한다고 한다.
현재 Blue Lab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을 요약한 테이블이다. NFT 부분을 보면 아직 ios 에서만 지원한다고 적혀있다.
트위터가 제공하는 NFT 프로필사진은?
유저가 느꼈을 때 눈에 두드러지는 가장 큰 특징은, 프로필 UI가 기존과 다르게 표시된다는 점이다.
NFT 프로필은 육각형으로 표시된다.
기존 프로필 → 원형으로 표시
NFT 프로필 → 육각형으로 표시
NFT 를 구매하는 주 목적 중 하나가 ‘과시’ 인 점을 생각했을 때, 트위터는 프로필 UI의 차별화로 유저의 니즈를 잘 살렸다. 다만 기능적인 제한이 있다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생성된 정적인 NFT만 지원한다.
(Opensea 베이스라서 그런듯하다.)
지원되는 지갑의 종류로는
Argent
Coinbase Wallet
Ledger Live
MetaMask
Rainbow
Trust Wallet
가 있다.
레인보우 지갑 출시때부터 레인보우의 UX랑 디자인이 예뻐서 자주 체크하곤 했는데, 확실히 인지도 측면에서도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레인보우 지갑을 많이 사용한 다는게 체감된다. 크립토쪽은 밈 문화를 빠르게 반영해서인지 MZ 세대가 좋아할법한 힙한 디자인이 대세인 것 같다.
🤔 프로필에 있는 NFT를 판매했을 때는 어떻게 되는지?
프로필의 Shape이 육각형에서 원형으로 돌아가는 것 같다. 단, 이미지는 이전에 소유한 nft와 동일하게 유지하되 소유권이 사라졌으므로 판매한 nft의 세부정보 또한 사라진다.
🤔 타인의 NFT 프로필 정보도 볼 수 있는지?
그 사람의 트위터 프로필에 들어가서 프로필을 탭하면 볼 수 있다.
🤔 특정 컬렉션의 nft인지도 직관적으로 보이는지?
세부 정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. (✔ 한국에 릴리즈되면 체크해볼 것)
트위터 Blue 가입화면
구독과 연결되는 페이지인데 정보가 눈에 잘 안들어와서 아쉬웠다. 새롭게 출시되는 기능인만큼, 슬라이드 안의 정보를 스켈레톤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더욱 직관적으로 표현했으면 어땠을까 싶다. 추가로, 슬라이더 전에 추가되는 핵심 기능들을 넘버링으로 요약해서 줄글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도 방법일 것 같다.
NFT 프로필 등록 UX
NFT 세부 정보 화면
세부 정보 화면에 들어가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.
- 오픈씨 인증 마크
- 크리에이터
- 주소
- 소유자
- 설명
- 컬렉션 정보
- 속성
- nft세부정보 (주소, 토큰ID, 블록체인, 표준 토큰)
- OpenSea 다이렉트 링크 버튼
내가 기획자였다면, 컬렉션 정보 > 크리에이터 순으로 위계를 가져갔을 것 같다.
컬렉션이 더 핵심 정보라고 생각하는데, 모바일이나 웹에서 눈에 띄지 않는다.
마치며
web3 타겟이 아닌 SNS에서도 점점 NFT가 보이기 시작하는 점이 흥미로웠다.
아직은 일부 유저들을 위한 기능에 불과하지만, 1년 뒤에는 이 판이 지금보다는 몇배로 커질 것임은 분명하다.
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도 이제는 이 분야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는 것이 체감된다.
'렛플 스토리 > IT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] WOW 계승품 시스템으로 빗대어본 NFT 시장 (0) | 2022.02.16 |
---|---|
[정보] NFT에 대해 알아보자 2탄 (이걸 산다고?!) (0) | 2022.02.04 |
[정보] NFT에 대해 알아보자 1탄 (a.k.a 돈복사) (0) | 2022.01.24 |
[정보] 메타버스란 무엇일까? 2탄 (0) | 2021.12.21 |
[정보] 메타버스란 무엇일까?(META BUS 아니죠~) (0) | 2021.12.16 |